-키바나
*자바 설치
dnf -y install java-1.8.0-openjdk-devel.x86_64
-레포지토리 추가
cat > /etc/yum.repos.d/elasticsearch.repo <<EOF
[elasticsearch-7.x]
name=Elasticsearch repository for 7.x packages
baseurl=https://artifacts.elastic.co/packages/7.x/yum
gpgcheck=1
gpgkey=https://artifacts.elastic.co/GPG-KEY-elasticsearch
enabled=1
autorefresh=1
type=rpm-md
EOF
-설치
dnf -y install kibana
-설정
vi /etc/kibana/kibana.yml (설정파일)
# 7번 라인 주석 해제 후 다음과 같이 설정
server.host: "0.0.0.0"
# 32번 라인 주석 해제 후
elasticsearch.hosts: ["http:// 엘라스틱 서치의 IP :9200"]
-실행
systemctl enable kibana
systemctl restart kibana
-확인
윈도우에서 웹브라우저로 http://키바나IP주소:5601
-메트릭비트(엘라스틱 서치 PC에서)
-설치
ES가 설치된 컴퓨터에서
yum install -y metricbeat
-설정
*설정 파일이 YAML형식이라 들여 쓰기 2번!
vi /etc/metricbeat/metricbeat.yml (설정 파일)
61번 setup.kibana: 해당 라인 밑에 다음 내용 추가, *들여 쓰기 주의*
host: "192.168.245.30:5601" (키바나 IP)
95번 hosts: ["192.168.245.10"] (엘라스틱 서치 IP)
metricbeat modules enable elasticsearch
metricbeat modules enable elasticsearch-xpack
-실행
systemctl restart metricbeat
-Elasticsearch Cluster 구성
-설정
일단 기존 데이터 삭제 ( 기존 노드 데이터가 남아있으면, 새로 설정한 노드 데이터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서 오류가 발생함.)
cd /var/lib/elasticsearch
rm -rf ./* (오타 없이 정확히 입력할 것.)
vi /etc/elasticsearch/elasticsearch.yml (아까 건드린 설정 파일 맞고, 다시 설정함!)
(설정할 때 /검색내용을 사용하면 윈도우의 Ctrl + f 와 같은 기능을 한다.)
-1번 노드
cluster.name: my-cluster #클러스터 이름은 모두 똑같이!
node.name: node-1 #노드 이름은 모두 다르게!
discovery.seed_hosts: ["192.168.245.10", "192.168.245.110", "192.168.245.210"] #모든 엘라스틱 서치 PC IP
cluster.initial_master_nodes: ["192.168.100.10"] #마스터 노트 결정
node.master: true #얘를 마스터로 쓰겠다!
node.data: false #데이터 저장 하지 않는다!
-2번 노드
cluster.name: my-cluster
node.name: node-2
discovery.seed_hosts: ["192.168.245.10", "192.168.245.110", "192.168.245.210"]
cluster.initial_master_nodes: ["192.168.100.10"]
node.master: false #얘는 마스터로 쓰지 않는다!
node.data: true #데이터 이쪽으로 저장한다!
-3번 노드
cluster.name: my-cluster
node.name: node-3
discovery.seed_hosts: ["192.168.245.10", "192.168.245.110", "192.168.245.210"]
cluster.initial_master_nodes: ["192.168.100.10"]
node.master: false
node.data: true
-재시작
systemctl restart elasticsearch
*설정 끝나고 에러나면 Kibana, Metricbeat, Elasticsearch 모두 재시작!
이후 키바나 웹 이어서 설명하겠음
스테이터스는 Green이 뜨는 게 좋다(보통 그린이다.)
이제 다시 POSTMAN으로
마스터 설정은 위에 2번, 3번 노드 설정중 vi /etc/elasticsearch/elasticsearch.yml
node.master: false → node.master: true로 바꾸면 됩니다. (설정 파일 건드린 후엔 무조건 프로그램 재시작 필수! 애매하면 다 재시작 하십쇼)
'IT 매일매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OpenSearch Service 도메인 생성 (0) | 2023.03.23 |
---|---|
ELK? 3. Elasticsearch + Logstash + Kibana (0) | 2023.03.23 |
ELK? 1. Elasticsearch + POSTMAN (0) | 2023.03.22 |
AWS 메시징 서비스 (0) | 2023.03.21 |
Zookeeper + Kafka (0)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