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2)
7계층 프로토콜 HTTP 들어가며...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차이는 어느 곳에서, 누구의 컴퓨터에서 실행 되느냐의 차이이다. 프론트 엔드 = 클라이언트 백엔드 = 서버(개발자) ! HTTP 프로토콜 특징 www에서 쓰이는 핵심 프로토콜. 문서의 전송을 위해 쓰이며, 오늘날 거의 모든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다. ! HTTP 요청 프로토콜 **URL = 일관된 위치,경로를 지정하 는것 = 정확한 위치를 찾아가게 하는것. *프로그램 설정은 보통 메모장 파일로 되어있다. ! DNS서버란? 내가 가고싶은 ip주소를 대신 찾아주는 시스템. +HTTPS = 제 3자가 내가 찾은 주소가 맞다고 인증해 주는것이다. ! HTTP 응답 헤더 =요청 헤더, 응답 헤더가 다르고 종류가 많다. =공백은 있을수도 없을수도 있다. =바디는 클라이언..
멀리 있는 컴퓨터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어떻게 찾아가 지는가? ipv4 프로토콜 = 20바이트 버전 = 4비트 ip헤더 = 6비트(24/4 = 6) +ip 옵션 = 뭔가 추가로 옵션을 작성할 때 사용, 옵션 사용할 땐 한 줄에 4바이트, 최대 10바이트까지 붙는다.(40바이트) *도스공격 = 받게 되는 데이터 조각들을 한 개씩 빼서 보내고, 그 데이터를 전부 받거나 합치기 위해 캐시나 메모리에서 처리를 기다리며 데이터가 쌓여서 컴퓨터에 과부하를 건다. *TTL = 패킷을 관리하며 시간이 지날 때 1개씩 패킷을 지운다. *Header checksum= 반대에서 보낸 공식을 다시 계산하여 적용해 본다. ICMP프로토콜 = 0,3,8,11번 외우기. 0,8번 세트(정상적인 응답요청, 응답) *0번 응답하라. *8번 응답했다. 3,11번 세트(비정..
OSI 3 계층은 무엇을 하는가. 컴퓨터는 보통 ip(3계층)로 통신을 한다.(가까운 거리라고 하더라도)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라우터를 통해 이동할 경로를 선택하여 IP 주소를 지정하고, 해당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해준다. 라우팅, 흐름 제어, 오류 제어, 세그먼테이션 등을 수행한다. 컴퓨터는 고유 ip를 가지고 있고 그 ip주소로 통신을 한다. *ipv6는 생긴지 굉장히 오래됐다. 하지만 쓰지않는다. +아직도 ipv4를 주로 사용한다. *IPV4 주소: 현재 PC에 할당된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ip주소에 대한 네트워크의 대역을 규정하는 것(이 수치가 작을수록 서버가 크다.) *게이트웨이 주소: 외부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출입구 이 3가지 중 하나라도 빠지면 인터넷이 안된다..
네트워크 기초를 배우다. 1.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노드들이 데이터를 공유 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전기통신망의 하나이다. *노드: 네트워크에 속한 컴퓨터나 통신장비. *인터넷: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구성된 세상에서 가장 큰, 전 세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네트워크 분류❕ 1 - 크기분류 LAN, WAN, MAN, 기타 중 LAN,WAN 위주로 공부하였음. 'LAN'은 가까운 거리의 지역을 하나로 묶는 네트워크. 'WAN'은 좀 더 먼 거리의 지역을 묶은, LAN이 모여져 만들어진 LAN의 집합 개념의 더 커다란 네트워크 2 - 연결 형태에 따른 분류 성형(STAR): 중앙 장비에 모든 노드를 연결 장점: 저렴한 비용, 간단한 관리 단점: 중앙장비 오류, 고장시 대응, 연결이 어렵다. 그물형(MASH): 여러 노드들이 서로 그물처..